해바라기와 구두 > LITERARY WORKS

본문 바로가기

  LITERARY WORKS


해바라기와 구두

페이지 정보

본문

pen_write-s.png


     나는 서양미술에 관하여 전문가는 아니지만 지난 주 목요일 오후 찾아가 본 빈센트 반 고호의 작품 전시회 <신화 속으로의 여행>은 나에게 있어서 하나의 놀라움인 동시에 기쁨이었으며, 어렵게 세상을 살고 간 한 예술가의 삶과 예술에 관하여 잠시 생각해 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나는 반 고호라는 사람이 서양 미술사에 있어서 큰 이름을 남긴 사람이라는 사실은 익히 알고 있었지만 실제로 이 사람이 한국에도 이처럼 많은 팬들을 가지고 있다고는 미처 생각하지 못하였다. 내가 광화문에 위치한 서울시립미술관을 찾은 날에는 어찌나 많은 관람객들이 몰렸는지 나는 반시간이 지나도록 입장을 못하고 전시실 밖에서 기다려야만 했다.

     뱀처럼 기다랗고 꼬불꼬불한 줄에 서 입장을 기다리는 동안 나는 이 전시회에서 보게 될 그림들에 관하여 미리 추측을 해 보았다. 미술관 입구에서 공짜로 나누어 주는 인쇄물에 나타난 대대적인 선전 문구에도 불구하고 나는 정작 우리들에게 잘 알려진 반 고호의 유명한 작품들은 이 전시회에서는 볼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런 명품들은 이미 오래 전에 전 세계의 유명한 미술관들과 개인 수집가들에 의하여 수집되어 소장되어 있으며, 이 귀중한 동시에 엄청난 가격을 가진 보물들을 잠시라도 빌려온다는 일이 결코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이었다.

     그런 사실을 감안하더라도 어쨌든 간에 그 유명한 고호의 작품들을 직접 볼 수 있다는 사실 앞에 나는 잔잔한 흥분을 느꼈다. 사실 나는 지금까지 이런 저런 계기로 해외여행을 하는 동안 고호의 작품 가운데 몇몇 이름난 작품들을 이미 본 행운을 누린 사람이다. “가세 박사의 초상”은 파리 루브르 박물관에서, “아르느의 침실,” “오베르의 교회,” “땅기 아저씨의 초상화,” 그리고 고호 자신의 “자화상” 하나는 오르세 미술관에서 보았고, “싸이프렛스 나무” 하나는 뉴욕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서, 그리고 그의 “해바라기 꽃” 가운데 하나는 시카고 미술관에서 본 적이 있다. 나는 이번 전시회에 대하여 애써 큰 기대를 품지 않으려 하면서도 혹시나 반 고호의 이 작품이 이번 전시된 작품들 가운데 끼어 있지나 않을까 하는 막연하나마 실은 아주 큰 호기심을 남몰래 품고 있었다.

     그것은 다른 것이 아니고 고호의 “구두” 그림이다. 검은 색의 더러워 보이고 다 해진 구두 한 켤레 - 구두끈은 제멋대로 풀어헤쳐 있고 헝클어져 있는 - 내다 버리기 일보직전에 있어 보이는 고호가 신었던 것으로 알려진 구두 한 켤레의 그림을 혹시 이번 전시회에서 직접 볼 수 있지나 않을 가 하는 기대였다. 나는 이 고호의 “구두”를 오래 전에 미술에 관한 책에서 처음 보았으며, 그 후 이런 저런 곳에서 사진으로 여러 번 보아왔다. 그리고 볼 때마다 점 점 더 이 그림을 좋아하게 되었다. 그런데 불행하게도 이 그림의 원본을 볼 기회는 아직까지 없었다. 나의 이런 야무진 기대는 이번에 전시되는 67점의 고호 작품들 대부분이 고호의 작품을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수집 소장하고 있다는 고호의 모국 네덜란드의 수도 암스테르담에 위치한 고호 미술관에서 왔다는 사실에 그 근거를 두고 있었다. 그리고 바로 이 “구두” 그림이 이 미술관의 소장품이라는 사실을 나는 알고 있었다.

     내가 짐작한 대로 전시된 반 고호의 작품들은 나에게는 두서너 점 제외하고는 모두가 새롭고 생소한 것들이었다. 대부분이 고호가 처음 화가로서 출발하여 어떻게 발전 내지 변화하여 가는 가를 보여주는 그의 초기 작품들이거나 습작들처럼 보였다. 미술을 전공한 사람들이나 고호 그림의 전문가들, 또는 직업적인 화가들에게 이 작품들은 고호의 미술을 보다 잘 이해하는데 있어서 더 할 수 없이 귀중한 단서를 제공하였겠지만, 나처럼 그저 이런 곳에 와서 눈에 익은 그래서 눈에 확 띄는 그런 것을 보고자 찾아온 사람에게 이 전시회는 기쁨이나 흥미보다는 다분히 교육적인, 공부를 해야 한다는, 그런 부담을 주는 전시회였다.

     솔직히 말해서 나는 그의 몇몇 풍경화를 제외하고 고호의 작품에 각별한 애정을 가진 사람은 아니다. 물론 나는 화가 고호의 재능과 독창성, 그리고 서양미술사에 남긴 그의 발자취는 인정하지만 그의 그림들은 내가 좋아하는 타입의 작품들은 아니다. 무엇보다도 비사실적인 사물의 묘사와 지나치다싶게 강렬한 색채(특히 노란색) 등은 나를 불안하게 만든다. 그의 그림들은 나에게 그의 불행했던 생애와  비극적인 종말, 그리고 항상 불안했던 그의 정신 상태를 상기시켜준다. 그의 그림들은 나를 즐겁게 하기 전에 먼저 무엇을 생각하게 만든다. 그의 그림 앞에서 나는 이유 없이 심각해진다.

     그런데 그의 “구두” 앞에서는 그렇지가 않다. 현실에서는 오래 신어 다 떨어진 해진 구두가 그의 그림에서는 너무나 아름답고 사랑스럽다. 든든하고, 따뜻하고 믿음직스럽다. 이 그림은 내가 좋아하는 사실적인 그림이다. 그의 “구두” 에는 고호의 다른 그림에서는 발견하기 어려운 진실한 삶과 현실성을 느낄 수 있다. 이 그림에는 고호 특유의 병적인 예민성이 아니라 건강한 사람의 삶에 대한 진지함과 노력, 애정, 긍정적 자세를 볼 수 있다. 고호의 이 구두 그림 앞에서 나는 그의 다른 그림들 앞에서 상실하였던 안정감을 되찾는다.

     고호가 해바라기 꽃뿐만 아니라 구두를 그리는 일에도 각별한 관심과 흥미를 보여 여러 개의 작품을 남겼다는 사실은 흥미로운 일일 뿐만 아니라 우리가 주목할 만한 일이다. 고호가 그의 현실에서 찾을 수 없었던 사랑과 삶의 활력을 해바라기 꽃에서 보았고 또 그것을 표현하고자 했다면, 그는 그가 매일 신고 벗는 구두에서 - 특히 다 해진 헌 구두에서 - 남다른 애정과 연민의 정을 느꼈을 것이라는 사실은 쉽게 짐작이 가는 일이다. 그는 자신의 헌 구두에서 또 하나의 자기 모습을 보았을 것이다. 그에게 구두는 현실적으로 긴요하고 고마운 물건이었을 뿐만 아니라, 가난, 고통, 절망, 노력, 인내의 상징인 동시에 화려하지만 쉬 시들어버리는 해바라기 꽃에서는 찾을 수 없었던 삶의 덕목을 보았을 것이다.  구두는 해바라기 꽃과는 이상적인 대조요 한쪽으로 기울기 잘하는 그의 정신을 바로 잡아주는 진정제이기도 하였다.

     나는 혹시나 내가 마음에 둔 그 “구두” 그림이 있나하고 찾아보았으나 허사였다. 짐작하였던 대로 그 그림은 없었다. 구두와는 거리가 먼 신발 한 켤레의 그림 한 점은 있었지만 그것은 내가 지금까지 알고 있는 다른 다섯 종류의 고호가 그린 본격적인 구두 그림들과도 거리가 먼 것이었다. 그러나 이 그림도 분명 고호의 초기 작품이었으며, 고호가 화가로서 초창기부터 이 신발이라는 대상물에 흥미를 가졌다는 사실을 입증하는 하나의 증거였다.

     많은 사람들에게 있어서 고호의 생애는 고호의 작품보다 더 흥미로운 관심의 대상이다. 고호는 짧은 일생동안  비참할 정도로 가난하였으며, 외롭고, 불행하였다. 생전 그는 화가로서 아무런 성공을 거두지 못하였다. 그는 수없이 많은 그림을 그렸지만 정작 팔려나간 작품은 단 한 점뿐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는 정서적으로 불안하였으며, 때로는 아주 위험할 정도였다. 그는 한 때 그가 지극히 좋아하였으며 존경 하였던 친구요 화가인 뽈 고갱과 격렬한 말다툼 끝에 흥분한 나머지 면도칼을 들고 고갱을 죽이겠다고 협박하기도 하였으며 (그것도 두 번이나), 이런 사건이 있은 뒤 그는 자신의 이런 미치광이 행동을 뒤늦게 깨닫고는 회개하고 용서를 비는 뜻에서 자신의 귀 하나를 면도칼로 잘라내는 정신이상자의 행동을 저지르기도 하였다. 결국 고호는 이런 정신 상태에서 37세라는 젊은 나이에 권총으로 자신의 목숨을 끊는 비극으로 자신의 생애를 마감하였다.

     좀 극단적으로 말해서 고호에게는 바람직한 것으로 여겨지는 개인적인 덕목이나 사회적 행실은 별로 없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남달리 그는 그림 그리는 재주와 열정을 타고나 신들린 사람처럼 마음껏 자기의 방식으로 자기가 그리고 싶은 것들을 그렸으며, 이렇게 남겨놓은 그의 작품들은 그가 죽고 난 다음 세상 사람들의 관심과 사랑을 받게 되었으며, 결국은 현재 그가 누리고 있는 불후의 명성을 그에게 져다 주었다.

     그리고 나는 오늘 그 불행한 삶을 살고 간 천재화가 고호가 남겨놓고 간 작품들을 보고 즐기기 위하여 이곳에 와 있다. 나는 이 고호의 그림 앞에서 마음이 그렇게 가볍지 않았다. 고호라는 사람이 생전 그런 고통과 고뇌 속에서 그린 이 작품들 앞에서 즐거워하고 흥겨워 한다는 것이 어쩌면 죄송스럽기도 하고 잔인하다는 생각조차 들었다.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라는 말은 틀림없는 진리다. 고호가 죽은 후 100년이 넘게 지난 오늘 그가 살았던 장소와는 아무런 연관이 없는 수천 아니 수만리 떨어진 한국의 수도 서울에서 그의 그림을 보겠다고 몰려든 이 수많은 사람들이 그 증거였다. 그러나 그 사람이 생전에 그처럼 어렵고 고통스런 삶을 살았다면 그가 죽은 후 그가 얻은 그 명성이란 것이 과연 무슨 의미가 있고 소용이 있단 말인가? 누구를 위한 명성인가? 우리들을 위한 명성인가? 아니면 고호를 위한 명성인가? 돋ㅐ체 천재란 무엇이란 말인가? 차라리 고호도 그림을 그리지 말고 우리처럼 평범하게 사는 것이 더 좋지 않았을까? 도대체 누가 그에게 화가가 되라고 했나? 고호가 이 전시회를 알고나 있을까?

     천재화가 고호의 고뇌와 비극적인 생애를 알리도 없고 관심도 없는 아이들은 그저 부모들과 함께 하루 외출한 것이 기쁘고 좋아서 미술관 복도를 소란스럽게 떠들면서 뛰어다니고 있었다.
     (2008년 3월)
추천163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설문조사

결과보기

새로운 홈-페이지에 대한 평가 !!??


사이트 정보

LEEWELL.COM
서울특별시 강남구 대치동 123-45
02-123-4567
[email protected]
개인정보관리 책임자 : 김인배
오늘
352
어제
1,685
최대
5,833
전체
2,718,898
Copyright © '2006 LEEWELL.COM All rights reserved.   Designed by  IN-BEST